찬송가 390장

모세가 아론을 만납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말씀하신 것과 행하신 이적을 얘기해 주었습니다.

모세와 아론은 백성의 장로들을 불러모아 그 모든 일을 알려주고 이적을 행하여 보였습니다. 백성들이 모두 하나님이 자신들의 기도를 들으셨음을 알고 믿게 되었습니다. 그후 모세와 아론은 바로에게 갔습니다. 애굽의 신으로 추앙받는 바로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였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을 광야로 보내어 절기를 지킬 수 있게 해 달라는 요구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미리 일러주신 것처럼 바로는 모세가 전한 하나님의 말씀을 거절합니다. 바로 입장에서 보면 당연한 행동이었습니다. 들어본 적도 없는 신이요 노예들이 말하는 신이 전하는 말을 따를 이유가 없는 것이죠. 그런데 바로는 한발 더 앞서 나갔습니다. 모세가 전한 말을 거절했을 뿐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더 상하게 노역을 시키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바로는 모세와 아론의 요청을 ‘노역을 쉬게 하려는’ 얕은 수작으로 여겼던 것입니다. 그리하여 아예 이스라엘 자손들이 쉬겠다는 소리를 하지 못하도록 ‘그 사람들의 노동을 더욱 무겁게 하라’고 감독자들에게 명령합니다. 게다가 벽돌 만드는데 사용되는 짚을 주지 말고, 이스라엘로 하여금 그것까지 직접 주워 일을 하되 하루에 만들어내야 하는 벽돌의 양도 그대로 유지하라고 하였습니다.

벽돌의 하루 생산량을 맞추는 일도 힘든데, 이제는 짚을 줍는 시간까지 더해졌으니 이스라엘 백성들은 잠자고 쉬는 시간을 줄여서 노동을 해야만 할 지경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바로의 이와 같은 가혹한 대응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행위였습니다. 그는 애굽의 신이었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의 신에 대해 정면으로 맞서 이기려고 한 것입니다.

출애굽을 뜻하는 ‘엑소도스’는 ‘-으로부터’를 뜻하는 ‘에크’와 ‘길’을 뜻하는 ‘호도스’의 합성어입니다. 즉 출애굽은 ‘길을 떠난다’의 의미가 있습니다. 옛길을 벗어나 새 길로 나아가는 과정이 출애굽 여정입니다. ‘옛 길’이란 결국 ‘옛 삶’을 말합니다.

옛 삶에서 새로운 삶으로, 노예의 삶에서 자유인의 삶으로, 죄에서 거룩함으로, 애굽의 바로를 섬기는 삶에서 하나님을 섬기는 삶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출애굽의 여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옛 삶을 버리고, 죄를 떠나고, 바로를 섬기는 삶을 버리는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 길을 방해하는 세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에게 가장 큰 방해자는 애굽 왕 바로였습니다. 그는 이스라엘이 제 힘으로 감당하기 불가능한 존재였습니다. 모세나 아론도 감당할 수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그를 무너뜨리고 그의 손에서 이스라엘을 건져내실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고, 그분의 명령을 따라야만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는 새로운 길, 자유의 길, 거룩함에 이르는 길, 구원과 생명을 얻는 길에 이를 수 없습니다. 백성들은 모세와 아론의 입술을 통해 전해지는 하나님의 말씀에만 집중하고 그 말씀을 온전히 신뢰해야 하는 선택의 순간이 찾아옵니다. 누구든지 그 말씀을 신뢰하고 따르는 사람은 살 길을 얻게 되지만, 그렇지 않는 사람은 살지 못할 것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하나님의 말씀에 생명이 있습니다.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하신 예수님의 말씀도 그것을 증명해 줍니다. 저와 여러분 모두 그 말씀의 수종자 되시기를 간절히 축원합니다.



등록하기